-
2025 기초연금 월 최대 32만원, 조건과 계산법 총정리1. 정부 지원정책 정보 2025. 4. 23. 21:04📌 대부분 몰라서 기초연금 못 받는 이유?
바로 소득인정액 계산 기준 때문입니다.
지금 확인 안 하면 최대 연간 140만 원 손해 볼 수 있어요.기초연금 수급자격은 무엇일까요? 2025년 기준으로 어떤 사람이 받을 수 있는지, 수급 조건부터 계산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기초연금이란 무엇인가요? (2025년 기준)
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 고령자 중 소득과 재산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들에게 매월 일정 금액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 기준으로는 대부분의 수급자가 월 최대 32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며, 국민연금 수급자도 중복 신청 가능합니다.
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구성 요소 정리
- 실제소득: 근로소득, 연금소득, 사업소득 등 월 단위의 현금소득
- 소득환산액: 예금, 부동산 등 재산을 월 소득처럼 계산한 금액
(공식: (재산 - 기본재산액) × 4% ÷ 12) - 소득인정액: 실제소득 + 소득환산액 → 총합이 기준 이하여야 수급 가능
2025년 기초연금 수급 조건은?
기초연금 수급자격은 연령, 소득인정액, 재산 기준을 모두 충족해야 하며, 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수급이 제한됩니다.
- 연령 기준: 만 65세 이상 (1959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)
- 소득인정액 기준:
- 단독가구: 월 228만 원 이하
- 부부가구: 월 364만 8천 원 이하
✔ 한눈에 정리: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, 소득인정액 기준에 따라 최대 월 32만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기초연금 소득인정액 계산하는 방법
- 실제 소득: 근로소득, 사업소득, 연금소득 등
- 재산의 소득환산액: (재산 - 기본재산액) × 4% ÷ 12
- 금융재산: 일정 금액 초과 시 소득으로 반영됨
💡 예시
서울 거주 단독가구가 예금 5,000만 원만 보유한 경우,
기본재산액(서울 기준 1억 3,500만 원)보다 적기 때문에 소득환산액은 0원.
다른 소득이 기준 이하라면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 있음.
👉 단, 소득환산액이 0이어야만 수급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.
중요한 것은 '소득인정액(총합)'이 기준 이하여야 한다는 점입니다.기초연금 신청 방법과 꼭 알아야 할 사항
- 자동 지급 아님: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.
- 신청 장소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
- 국민연금 수급자도 신청 가능: 감액 여부는 별도 산정
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국민연금 받는 사람도 기초연금 받을 수 있나요?
A. 받을 수 있습니다. 다만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 경우 일부 감액될 수 있습니다. - Q. 온라인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?
A.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본인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. - Q. 기초연금 수급자격은 어떻게 확인하나요?
A. 연령, 소득인정액, 재산 기준을 모두 만족해야 하며 복지로 모의계산기를 통해 예측할 수 있습니다. - Q. 부부 둘 다 신청 가능한가요?
A. 가능합니다. 단, 부부가구 기준으로 소득인정액을 산정합니다.
바로 확인해보세요
'1. 정부 지원정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총정리, 신청 조건부터 지급 방식까지 (0) 2025.04.25 2025 청년월세 지원 서울시부터 전국까지 내년 대비 조건 총정리 (0) 2025.04.24 근로자의 날 나는 쉴 수 있을까 유급 여부 직군별 정리 (1) 2025.04.22 2025 전기차 보조금 신청 총정리 (서울 경기 제주 지역별 비교) (0) 2025.04.21 청년내일저축계좌, 2025년 자격부터 신청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 (0) 2025.04.21